<p></p><br /><br />앞서 보셨듯이 청와대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되면서 경찰도 바빠졌습니다.<br> <br>달라질 경호문제를 검토하기 시작했는데요. <br> <br>도심 한복판에 국가원수의 집무실이 있는 영국과 프랑스 사례를 참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주현 기자가 보도합니다<br><br>[리포트]<br>청와대에 있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제왕적 대통령제 청산에 필수라고 했던 윤석열 당선인. <br> <br>[윤석열 / 대통령 당선인(지난 1월)] <br>"청와대 전체를 국민을 위해 돌려드리겠습니다." <br><br>지난 수십 년간 유지한 청와대 중심 경호 경비 체계를 개편해야 하는 경찰도 바빠졌습니다. <br> <br>유력 후보지인 용산 국방부 청사나 광화문 외교부 청사 모두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 한복판에 있어 테러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경찰은 최근 상황이 비슷한 각국 사례 취합과 분석에 나선 걸로 확인됐습니다. <br><br>경찰 관계자는 "해외 파견 주재관을 통해 해외 지도자 집무실의 경호·경비 체계를 취합하고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구체적으로는 영국 총리와 프랑스 대통령 사례가 검토 대상입니다. <br><br>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집무실은 런던 대로변 다우닝가에 있어 접근성과 개방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<br> <br>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집무 공간인 엘리제궁 역시 파리 주요 관광지나 번화가와 가깝습니다. <br><br>이들 나라에서 집무실이나 관저 주변의 집회와 시위, 교통 흐름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파악해서, 경호·경비와 대테러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게 경찰의 방침입니다. <br> <br>경찰청 대통령실 이전 준비 치안대책위원회는 이같은 방안을 가지고, 조만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, 대통령경호처와 본격 협의에 나설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주현 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donga.com